작성일 : 20-03-07 02:12
출가와 열반절 단상
 글쓴이 : dowon
조회 : 3,159  

어제 샌프란시스코한국일보에 실렸던 아래의 글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고향에서 온 한국달력은 오늘이 경칩절임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삼월의 첫 번째 절기인 이즈음, 그동안 여러 생물이 겨울 추위에 움츠리고 있다가 봄기운을 만나 활짝 기지개를 펴고 힘차게 움직이며, 농사 작업을 벌이기 시작하는 때입니다. 지난 일요일을 앞뒤로 이곳 베이지역의 한인동포사회는 3.1절 101주년 기념식을 갖고 그 뜻을 기렸습니다. 앞으로는 자주독립정신을 바탕으로 하여 아직도 못 이룬 남북통일운동에 매진해 나가야하겠습니다. 민주평화통일을 성취하는데 기여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각자의 환경 여건에 따라 공공외교를 활성화하고, 백범 김구선생님이 추구하셨던 ‘문화강국’의 유훈을 실현하는데 정진해 나가기를 기대해 봅니다. 지난 일요일 저녁 버클리에서 펼쳐졌던 “블랙스트링 (Black Strings 玄琴)” 즉, 거문고를 중심으로 한민족의 악기로서 빚어낸 음악공연은 클래식 한류의 문향향연으로서 삼일절 경축의 계기도 되었으며, 다문화 미국인들에게 한국문화에 대한 큰 감동과 깊은 인상을 주었을 것으로 짐작합니다. 봄맞이의 멋진 나이트쇼 이벤트였을 줄 압니다.

지난 월요일은 음력으로 이월 초파일로서, 한국과 중국 등지의 동북아시아 불교전통에서는 석존 즉, 인도 카필라국 석가족의 싯다르타 태자가 그의 정반왕궁을 떠나 구도의 길을 나선 날 즉, 출가절(出家節)로 기려온 날이었습니다. 소납은 이날을 기려, 그 전날인 일요일에 여래사에서 봉축법회를 열었습니다. 이른바 “석가여래 팔상성도 (釋迦如來 八相成道)” 즉, 석존의 일생을 여덟 가지 모습으로 간추려 보이는 것을 인용하여서 설법하였습니다. 제일 먼저 ‘도솔내의상’ 즉, 도솔 하늘에서 인간세상을 구제하려 내려오시는 과정으로서, 여섯 상아를 가진 코끼리를 타고 정반왕비 마야부인의 꿈을 통해 태중으로 들어가는 모습의 그림. 두 번째로 ‘비람강생상’ 즉 룸비니 동산에서 무우수 가지를 잡고 서있는 마야부인의 옆구리를 열고 태어나는 모습의 그림. 세 번째로 ‘사문유관상’ 즉, 정반왕궁의 동서남북 대문을 나서면서 늙은이와 병든 사람과 장례행렬 및 수행자를 각각 보면서, 인생의 덧없음과 괴로움 및 그로부터 벗어나려는 초월의 가능성을 둘러보는 모습의 그림. 네 번째로 ‘유성출가상’ 즉, 구도를 위해 궁성을 넘어 출가하시는 모습의 그림에 대한 의미를 새겨 보았습니다.

오는 일요일에는 다음 주 월요일 즉, 음력 이월 보름밤에 입적하신 석존의 열반절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누어 보려 합니다. 지난주에 이어서 다섯 번째 ‘설산수도상’ 즉 히말라야산맥 가운데에서 수행하시는 모습의 그림. 여섯 번째 ‘수하항마상’ 즉, 가야의 네란자 강가 보리수 아래에서 수행중의 모든 장애 마군들을 항복받고 대각 성불하신 모습의 그림. 일곱 번째 ‘녹원전법상’ 즉, 성도 후에 사르나트 녹야원으로 가셔서 교진여 등 다섯 명을 위하여 최초로 설법을 하시는 모습의 그림. 여덟 번째이며 마지막인 ‘쌍림열반상’ 즉, 쿠시나가르 두 사라나무 사이에서 완전한 최후의 열반을 보이시는 모습의 그림에 대한 것입니다. 스리랑카를 포함하여 태국 등 동남아시아 불교국의 상좌부전통에서는 베삭절 즉, 음력 사월보름에 모두를 함께 봉축하기도 합니다만, 우리는 1700여년을 이어온 한국불교의 전통에 따라, 역사 속에 보이신 부처님의 일생과 그 공덕을 각각 따로 기리며, 그 분이 보여주신 생사해탈의 길을 따라 살아보려고 다짐하는 기회를 갖고자 합니다. 코로나바이러스로 걱정이 큰 요즈음, 각자 잠시라도 마음으로나마 거룩한 길을 보여주신 석존의 본뜻을 되새기며, 건실하고 평화로운 치유방법으로 대응하여, 열반의 고요하고 맑은 분위기를 누려보시기 바랍니다. 


관리자 20-03-09 13:04
 
 
 

Total 1,202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702 유월의 문턱에서 (1) dowon 06-06 1972
701 시절인연 묵상 (1) dowon 05-20 1965
700 4.28 소회 (1) dowon 04-29 2119
699 부활절에 (1) dowon 04-13 1952
698 코비드19 단상 (1) dowon 03-13 2042
697 출가와 열반절 단상 (1) dowon 03-07 3160
696 이국에서의 거문고 소리에 젖어보다 (1) dowon 03-03 1989
695 합천 해인사, 김해 사티아라마, 문경 봉암사 기행 (2) dowon 02-10 3494
694 가야산 해인사 (1) dowon 02-08 2006
693 가야로 가는 길 (1) dowon 01-11 2168
692 제야와 신년 소감 (1) dowon 01-01 2014
691 동지를 지내며 (1) dowon 12-25 1856
690 릭천문대 방문 (1) dowon 12-18 1935
689 태양의 고마움 (1) dowon 12-04 2322
688 첫눈을 보며 (1) dowon 11-28 1966
687 법구게재를 마무리하며 (1) dowon 11-18 1979
686 11.13. 법구 (1) dowon 11-13 1977
685 11.12. 법구 (1) dowon 11-13 1920
684 11.11. 법구 (1) dowon 11-12 1946
683 11.10. 법구 (1) dowon 11-11 1852
682 11.9. 법구 (1) dowon 11-10 1960
681 11.8. 법구 (1) dowon 11-09 1963
680 11.7. 법구 (1) dowon 11-08 1926
679 11.6. 법구 (1) dowon 11-07 1871
678 11.5. 법구 (1) dowon 11-06 1951
677 11.4. 법구 (1) dowon 11-05 1894
676 11.3. 법구 (1) dowon 11-04 1854
675 11.2. 법구 (1) dowon 11-02 2714
674 11.1. 법구 (1) dowon 11-01 1876
673 10.31. 법구 (1) dowon 11-01 1929
672 10.30. 법구 (1) dowon 10-30 1927
671 10.29. 법구 (1) dowon 10-30 1885
670 10.28. 법구 (1) dowon 10-29 1973
669 10.27. 법구 (1) dowon 10-28 1934
668 10.26. 법구 (1) dowon 10-26 1997
667 10.25. 법구 (1) dowon 10-26 1883
666 10.24. 법구 (1) dowon 10-25 1915
665 10.23. 법구 (1) dowon 10-23 1860
664 10.22. 법구 (1) dowon 10-22 1959
663 10.21. 법구 (1) dowon 10-21 1848
662 10.20. 법구 (1) dowon 10-21 1889
661 10.19. 법구 (1) dowon 10-19 1916
660 10. 18. 법구 (1) dowon 10-18 1844
659 10.17. 법구 (1) dowon 10-17 1863
658 10.16. 법구 (1) dowon 10-17 1845
657 10.15. 법구 (1) dowon 10-15 1419
656 10.14. 법구 (1) dowon 10-15 2511
655 10.13. 법구 (1) dowon 10-14 1289
654 10.12. 법구 (1) dowon 10-12 1293
653 10.11. 법구 (1) dowon 10-12 1320
652 10.10. 법구 (1) dowon 10-11 1466
651 10.9. 법구 (1) dowon 10-10 1439
650 10. 8. 법구 (1) dowon 10-09 1390
649 10.7. 법구 (1) dowon 10-08 1444
648 10.6. 법구 (1) dowon 10-07 1370
647 10.5. 법구 (1) dowon 10-06 1385
646 10.4. 법구 (1) dowon 10-06 1375
645 10.3. 법구 (1) dowon 10-03 1380
644 10.2. 법구 (1) dowon 10-02 1375
643 10.1. 법구 (1) dowon 10-01 2596
642 9.30. 법구 (1) dowon 09-30 2431
641 9.29. 법구 (1) dowon 09-29 1441
640 9.28. 법구 (1) dowon 09-28 2587
639 9.27. 법구 (1) dowon 09-27 1442
638 9.25. 법구 (1) dowon 09-25 2206
637 9.24. 법구 (1) dowon 09-24 2441
636 9.23. 법구 (1) dowon 09-23 1392
635 9.22. 법구 (1) dowon 09-23 1447
634 9.21. 법구 (1) dowon 09-21 1393
633 9.20. 법구 (1) dowon 09-20 1363
632 9.19. 법구 (1) dowon 09-19 1379
631 9. 18. 법구 (1) dowon 09-18 1440
630 9.17. 법구 (1) dowon 09-17 1372
629 9.16. 법구 (1) dowon 09-17 1441
628 9.15. 법구 (1) dowon 09-16 1317
627 9.14. 법구 (1) dowon 09-15 1383
626 9.13. 법구 (1) dowon 09-13 1376
625 9.12. 법구 (1) dowon 09-12 1426
624 9.11. 법구 (1) dowon 09-11 1300
623 9.10. 법구 (1) dowon 09-10 1391
622 9.9. 법구 (1) dowon 09-10 1367
621 9.8. 법구 (1) dowon 09-08 1560
620 9.7. 법구 (1) dowon 09-07 1398
619 9.6. 법구 (1) dowon 09-07 1369
618 9.5. 법구 (1) dowon 09-06 1384
617 9.4. 법구 (1) dowon 09-05 2411
616 9.3. 법구 (1) dowon 09-03 1439
615 9.2. 법구 (1) dowon 09-03 1387
614 9.1. 법구 (1) dowon 09-01 1462
613 8.31. 법구 (1) dowon 09-01 1428
612 8.30. 법구 (1) dowon 08-31 1457
611 8.29. 법구 (1) dowon 08-30 1388
610 8.28. 법구 (1) dowon 08-28 1383
609 8.27. 법구 (1) dowon 08-27 1376
608 8.26. 월. 법구 (1) dowon 08-26 1457
607 8.25. 법구 (1) dowon 08-25 1567
606 8.24. 법구 (1) dowon 08-24 1414
605 8.23. 법구 (1) dowon 08-23 1387
604 8.22. 법구 (1) dowon 08-22 1389
603 8.21. 법구 (1) dowon 08-21 1450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