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24-03-05 02:06
재가자의 아만을 조복한 일
 글쓴이 : dowon
조회 : 723  
출가수행자의 무집착을 이미 성취했다는 아만을 가진 재가자를 제어함
어느날 아침, 석존은 의복을 갖추고 여법하게 아파나로 탁발하러 가셨다. 그분이 그곳을 순회하고 돌아와 공양 식사를 마치고는 조용히 지내고자 어느 동산 숲속에 들어가 한 나무 밑에 머무셨다. 그때 포탈리야 거사가 정장을 하고 샌달을 착용한 뒤에 양산을 들고 그곳을 운동삼아 산책하고 있었다. 동산에 들어와서 세존께 접근한 그는 인사를 드렸다. 정중하고 친절한 대화후에 그는 한쪽에 서 있었다. 세존이 그에게 “거사여, 그곳에 자리가 있으니 좋을 대로 앉으시오.” 말씀하셨다. 그러자 포달리야는 생각하기를 “출가한 고타마가 나를 ‘거사(재가자)’로 부르시네,”하며, [무시당한 듯이] 분심을 일으켜 기분이 언짢아서 침묵하고 [그대로 서] 있었다. 세존이 거듭 같은 말씀을 하여도 그는 계속 말없이 서 있었다. 세존으로부터 세 번째 같은 말씀을 들은 포탈리야는 화가 나서 말하기 시작했다: “경배할 고타마여, 저를 ‘거사’로 부르는 것은 합당하지 않습니다.” “거사여, 그대는 거사로서의 모습을 하고 있지 않소.” “경배할 고타마여, 나는 모든 [재가의] 직업을 포기하고 [세속적인] 일을 끝냈습니다.” “거사여, 어떤 방법으로 직업을 포기하고 일을 끝냈소?” “경배할 고타마여, 나는 나의 모든 소유 재산, 곡식, 금은 등을 내 자녀들에게 상속시켰습니다. 그들에게 훈계없이 나는 단순히 음식과 의복만 챙깁니다. 이 방법이 나의 직업을 포기하고 일을 끝낸 방법입니다.” “거사여, 그대가 설명한 [세속적]일을 그만둔 것도 일리는 있지만, [출가자의] 거룩한 수행은 다른 것일세.”... “거사여, 출가성자의 수행은 [탈속의] 여덟가지가 있네. 무엇이 여덠 가지인가 하면: 산 목숨을 죽이지 않으려 하며 죽임을 버린다. 오직 주는 것만 받아 가지려 하며 주어지지 않은 것은 갖지 않는다. 진실한 말을 하려 하며, 속이는 말을 하지 않는다. 이간질하려하지 않으며 양설을 않는다. 성욕을 자제하려하며 성욕을 일으키지 않는다. 욕설을 하려하지 않고 악담을 않는다. 분노를 자제하려하며 성내지 않는다. 방자하려 하지 않고 자만하지 않는다. 이것들이 여덟가지로서, 자세한 설명없이 조목만 들었지만, 이들이 세속적 일을 끝내고 출가수행으로 이끄는 것이오.” ... [붓다는 이어서 앞의 조목들의 폐해와 포기에 대하여 각각 자세히 설명하며, 만약 그것들을 포기하지 않으면 자기 스스로도 자괴감이 들고, 현인들로부터 비난 받으며, 죽으면 악도에 태어나고, 포기하지 않는 것이 속박과 장애가 됨을 보게 된다고 하였으며, 감각적 즐거움의 위험과 그를 초월하는 이익에 대한 다양한 예를 들어서 가르치셨다] “경배받을 분이시여, 세존께서는 저에게 출가에 대한 영감과 의욕 및 확신과 경의를 갖도록 하셨습니다!” (Potaliya Sutta, Majihima-nikaya I. 359-368, Trans. G.A.S. 영역, 진월 한역) CBT 92b-93b.
이상에서, 한 재가 거사가 지기도취에 빠져서 수행자와 같은 호칭과 대접을 받으려고 아만을 부림과, 그 재가자의 환상과 착각 및 아만을 깨우치고, 마침내 올바른 수행의 길로 인도하신 석존의 지혜와 자비심을 볼 수 있다. 세속에 머무르면서도 출가자와 같이 수행함이 전혀 불가능하지는 않겠지만, 실제로는 여건상 제대로 실현하기는 매우 어려우리라 짐작된다. 만약 초월의 뜻이 있다면 결심과 용기를 내어 매진하지 않고는 소기의 결과 성취가 어렵고 그 업보의 결과가 다를 것이다. 출가하고도 제대로 그 수행을 잘 못하는 이들이 적지 않은 실정이고, 정진하기 쉽지않겠지만...

관리자 24-03-05 09:51
 
 
 

Total 1,204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1204 금강산 생각 (1) dowon 01-24 52
1203 신심 청량 목욕시절 (1) dowon 01-03 96
1202 청명절기 (1) dowon 10-11 301
1201 불기를 되새기며 (1) dowon 03-27 378
1200 삼월 생각 (1) dowon 03-11 415
1199 선객한담 (1) dowon 02-26 478
1198 봄맞이 (1) dowon 02-11 512
1197 시절 단상 (1) dowon 01-29 472
1196 승만부인의 찬불과 원력 (1) dowon 04-13 673
1195 석존 찬탄 노래 이부 (1) dowon 04-12 710
1194 석존 찬탄 노래의 일부 (1) dowon 04-11 676
1193 적멸의 상태는 설명 불가 (1) dowon 04-08 678
1192 붓다의 열반이후 세계 (1) dowon 04-06 787
1191 응공(아라한)의 성취 내용 (1) dowon 04-05 666
1190 석존 교화의 우선 순위 (1) dowon 04-04 756
1189 석존과 그 제자들의 차이 (1) dowon 04-03 733
1188 석존의 전생 보살행 (1) dowon 04-02 726
1187 석존의 존재론적 특성 (1) dowon 04-01 654
1186 법신의 인식과 향유 (1) dowon 03-31 602
1185 붓다는 담마의 설파자 (1) dowon 03-29 681
1184 붓다와 담마는 일체 (1) dowon 03-28 596
1183 석존 자질에 대한 인식과 표현 (1) dowon 03-27 700
1182 석존의 대열반 (입적서거) (1) dowon 03-25 718
1181 석존 최후의 유훈 (1) dowon 03-24 697
1180 석존 일생의 마무리 (1) dowon 03-23 789
1179 석존의 취침 관행 (1) dowon 03-22 703
1178 석존의 출산 축원 일화 (1) dowon 03-21 688
1177 석존의 간병 교훈 (1) dowon 03-20 561
1176 석존의 질환 극복방편 (1) dowon 03-19 709
1175 석존의 고통 대치 (1) dowon 03-18 767
1174 석존의 감기 대응 (1) dowon 03-17 698
1173 석존의 피로 대처일화 (1) dowon 03-16 786
1172 지도자에게 필요한 고독 (1) dowon 03-15 700
1171 석존의 살림살이 특성 (1) dowon 03-14 704
1170 석존 제자들의 적정 정념 (1) dowon 03-13 697
1169 석존의 고요한 생활 (1) dowon 03-12 702
1168 앙구리마라 관련2 (1) dowon 03-11 732
1167 앙구리마라 교화 이야기 (1) dowon 03-10 873
1166 사나운 코끼리의 교화 (1) dowon 03-08 795
1165 청부 암살자의 교화 (1) dowon 03-07 703
1164 방자한 이가 조복당함 (1) dowon 03-06 701
1163 재가자의 아만을 조복한 일 (1) dowon 03-05 724
1162 석존의 악인교화 선례 1 (1) dowon 03-04 778
1161 석존의 의복과 설법 정황 (1) dowon 03-03 743
1160 석존의 식생활 단면 (1) dowon 03-02 721
1159 외도가 관찰한 석존의 모습 (1) dowon 03-01 728
1158 석존의 과거생 살림살이 (1) dowon 02-29 788
1157 붓다의 상호 배경과 원인 (1) dowon 02-28 716
1156 석존의 소박한 모습 (1) dowon 02-27 723
1155 석존의 유일한 특성과 자질 (1) dowon 02-26 733
1154 석존에 대한 신들의 찬사 (1) dowon 02-24 750
1153 진리 가르침의 경이로움 (1) dowon 02-23 670
1152 안으로 자기를 찾아보라 (1) dowon 02-22 715
1151 석존의 선교방편 1 (1) dowon 02-21 680
1150 석존의 교화 방편 (1) dowon 02-20 727
1149 석존의 자비와 제자공동체 (1) dowon 02-19 719
1148 석존의 자비 교화방편 (1) dowon 02-18 709
1147 석존의 제자들 포교 파송 (1) dowon 02-17 721
1146 진리의 스승인 붓다 (1) dowon 02-16 687
1145 석존의 초전법륜: 사성제 (1) dowon 02-15 663
1144 석존의 최초설법: 중도 (1) dowon 02-14 652
1143 석존의 최초제자 5명 인연 (1) dowon 02-13 722
1142 석존의 최초설법 대상 (1) dowon 02-12 653
1141 석존의 설법 결심 (1) dowon 02-11 702
1140 여래 붓다는 세상의 빛 (1) dowon 02-10 746
1139 제자들에게 길을 지시하는 여래 (1) dowon 02-09 673
1138 붓처님의 위대한 능력 (1) dowon 02-08 750
1137 여래 출현의 배경과 목적 (1) dowon 02-07 736
1136 "여래" 의미와 공능 (1) dowon 02-06 813
1135 담마(진리 법)에 대한 존경 (1) dowon 02-05 724
1134 석존의 "옛길 (팔정도)" 발견과 안내 (1) dowon 02-04 662
1133 석존의 성도 열반 (1) dowon 02-03 715
1132 석존의 해탈 성취 (1) dowon 02-02 690
1131 석존의 성도 상황 (1) dowon 02-01 657
1130 석존의 성도과정4 (1) dowon 01-31 816
1129 석존의 성도과정3 (1) dowon 01-30 747
1128 석존의 성도과정 2 (1) dowon 01-29 679
1127 석존의 성도과정 (1) dowon 01-28 748
1126 석존의 절식고행 체험과정 (1) dowon 01-27 825
1125 석존 고행과정: 호흡중지 체험 (1) dowon 01-26 805
1124 석존의 고행 과정과 결과1 (1) dowon 01-25 735
1123 석존의 고행수행3 (1) dowon 01-24 734
1122 석존의 고행 수행2 (1) dowon 01-23 761
1121 석존의 고행 수행 1 (1) dowon 01-22 671
1120 요가 선정적 수행 경험 (1) dowon 01-21 799
1119 석존의 수행과정 모습 (1) dowon 01-20 837
1118 성도절을 지내며 (1) dowon 01-19 772
1117 석존의 출가 상황 (1) dowon 01-18 802
1116 고귀한 탐색과 용기 (1) dowon 01-17 796
1115 감각적 쾌락의 한계와 위험 및 그 초월 (1) dowon 01-15 860
1114 석존의 출가전 젊은 시절 (1) dowon 01-13 868
1113 석존 탄생 관련 7 (1) dowon 01-12 822
1112 석존 탄생 관련 6 (1) dowon 01-11 854
1111 석존 탄생관련 5 (1) dowon 01-10 828
1110 석존 탄생 관련 4 (1) dowon 01-09 717
1109 석존탄생 관련3 (1) dowon 01-08 762
1108 석존탄생 관련2 (1) dowon 01-07 831
1107 부처님 탄생 이야기 1 (1) dowon 01-06 815
1106 부처님의 출현 (1) dowon 01-05 862
1105 새해의 법공양 안내 (1) dowon 01-04 773
 1  2  3  4  5  6  7  8  9  10